※ exp 받은 dmp 파일은 나중에 imp 를 하기 위해서 바이너리 파일로 변환되어 만들어지고 내부 순서를 보면 Create table -> insert -> Create index -> add constraint 이다.


 vi dmp파일

^C^CNEXPORT:V11.02.00 -> export 버전

DSYSTEM -> exp 수행한 계정

RENTIRE -> 전부 다 full 로 exp 받았다는 것.

8192 -> 블락 크기


CONNECT SCOTT -> exp 할 때 system 계정으로 수행했어도 exp 유틸이 자동으로 USERS tablespace 를 default tablespace 로 사용하는 schema 가 scott 임을 찾아서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 한 것이다.


 TABLESPACES 옵션을 주었다 하더라도 dmp 파일에서 확인되는 것과 같이 imp 할 때 Tablespace를 생성하고 Table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. imp하길 원하는 서버에 Tablespace를 먼저 만들어 두고 imp 를 해야 한다는 뜻.


 서버1 에서 scott 사용자의 default tablespace가 users 이고 서버2 사용자는 example 인 경우 서버1에서 scott사용자의 tbl600 테이블을 exp받아 서버2 로 imp 하면 서버1 scott 사용자의 default tablespace인 users로 들어가게된다.


 서버2에 서버1에 있던 테이블스페이스가 없으면 해당 스키마의 default tablespace로 입력된다.

따라서 마이그레이션 작업 순서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은 AS-IS 서버와 TO-BE 서버의 사용자 계정과 각 사용자의 default tablespace 를 동일하게 설정하고 Privilege 와 role 을 동일하게 설정한 후에 schema 별로 exp 를 수행해서 imp를 수행하는 것이다.





'Backup&Recove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Data pump  (0) 2015.04.21
Data file 및 사용자 장애 복구  (0) 2015.04.20
Log Miner 활용  (0) 2015.04.20
Parameter file 관리 및 장애복구  (0) 2015.04.20
데이터 이동하기 (Export / Import)  (1) 2015.04.20

설정

트랙백

댓글